교육목표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이란 인간의 생존을 위해 필수 불가결한 요소로서 개인은 물론, 한 사회를 형성, 유지, 발전시키는 근본 메커니즘이다. 작게는 개인과 개인 사이의 의사소통, 크게는 신문, 방송, 영화, 잡지 등 매스커뮤니케이션에 이르기까지 커뮤니케이션 과정이 연관되지 않는 인간과 사회현상은 없다.
현대 사회에서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은 날로 커지고 있다. 라디오나 텔레비전과 같은 매스 미디어는 이미 오래전에 우리의 일상에 완전히 자리를 잡아 정치, 경제, 사회, 문화 현상을 이해하는 데 반드시 고려해야 하는 중요 요인이 되었다. 또 최근에는 정부와 커뮤니케이션 기술이 혁명적으로 발달하여 사회 전체의 커뮤니케이션 과정이 근본적인 변화를 겪고 있다.
언론정보학과는 이러한 다양한 양태의 커뮤니케이션을 체계적으로 연구함으로써 이 현상에 대한 이해를 깊게 하고, 나아가 신문, 방송, 영화, 정보산업, 광고, 홍보 등 주요 커뮤니케이션 분야의 창조적 기술과 이론을 연구하고 교육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학과연혁
서울대 언론정보학과(言論情報學科) 는 인간의 모든 커뮤니케이션 현상을 연구대상으로 다루는 학과로서 1996년 12월 종래의 신문학과(新聞學科)를 확대 발전적으로 개칭한 것이다. 신문학과가 서울대학교 사회대학에 공식적으로 설치된 것은 1975년 2월 28일이었다. 하지만 과가 창설되기 이전에도 서울대학교의 신문학 교육과 연구는 이미 20여 년의 역사를 지니고 있었다. 따라서 신문학과의 창설과정과 배경을 이해하려면 그 이전의 20년간의 전사(前史)를 간단히 살펴볼 필요가 있는데, 그 역사적 과정은 대략 아래와 같다.
최근 언론정보학과는 인터넷과 멀티미디어, 영상문화에 대해 급증하고 있는 사회적 관심과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새로운 모색을 하고 있다. 1995년 방송 스튜디오를 개설하여 방송과 영상 커뮤니케이션 관련 실습을 꾸준히 진행시키면서 내실을 다져가고 있으며, 2002년부터 시작된 정보문화학 협동과정을 설립함으로써 새로운 정보, 문화 환경에 대한 인문-사회과학적인 연구 인력과 디지털 미디어 산업이 요구하는 실무 인력의 양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2006~2010
2단계 BK21 사업 선정
2010. 10
제5회 서울대 언론정보학과 – 동경대 정보학환 심포지움 주최
2008. 11
제3회 서울대-동경대-홍콩중문대-국립대만대-중국청화대 심포지움 주최
서울대 언론정보학과와 동경대 정보학환의 교류 협정에서 발전한 국제학술대회
2008. 03
호주 모나쉬대학(COMMUNICATIONS AND MEDIA STUDIES, MONASH UNIVERSITY)과 학술교류협정 체결
홍콩 뱁티스트대학(DEPARTMENT OF COMMUNICATION STUDIES, BAPTIST UNIVERSITY)과 학술교류협정 체결
2007~2008
1, 2차년도 패널 내 최우수사업단으로 평가
2007. 10
제1회 아시아-태평양 학술 네트워크 주최
언론정보학과와 중국 전매대학, 호주 모나쉬대학, 홍콩 뱁티스트대학 등과 개별적으로 맺어온 학술교류를 확대하여 정례화 함
2007. 09
서울대 언론정보학과-동경대 정보학환 국제 공동강의 신설 시행
2006년도에 실시했던 비디오 컨퍼런스 공동강의를 발전시킴
2007. 01
언론정보학과-호주 모나쉬 대학 간 교수인력 교류 시작
동계집중강의 프로그램 실시
2006. 10
제1회 서울대 언론정보학과-동경대 정보학환 공동 심포지움 주최
1996년부터 서울대 언론정보학과와 동경대 정보학환 교수 간 학술교류로 시작
2001년부터 대학원생을 포함한 학술대해 성격으로 발전됨
2006. 09
중국 전매대(CHINA UNIVERSITY OF COMMUNICATION)와 학술교류협정 체결
1997~2014
언론정보학과
2014. 03
IBK 커뮤니케이션 센터 (64동) 신축 이전
2005. 10
일본 동경대와 학생교류협정 체결
2005. 05
언론정보학과 30주년 기념 행사
2005. 03
언론정보학과 희관기념홀 개관
2003. 11
디지털편집실 개관
2002. 03
정보문화학 개설 운영
1997. 05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원) 신문학과에서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원) 언론정보학과로 학과명칭 변경
1975~1996
신문학과 설치와 발전
1995. 01
신문학과 방송 스튜디오 개관
1985. 02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신문학과 동창회 창설
1983. 10
희관 학술논문상 제정
1978. 02
학사과정 제1기생 졸업
1976. 03
신문학과 대학원에 박사과정 설립
1975. 09
신문학과 학사과정 제1기생 진입
1975. 03
신문연구소는 사회과학대학 부속기관으로 개편
1975. 02
서울대학교 종합화 10개년 계획에 따라 신문대학원 발전적 폐지
신문학 전공 대학원을 통합하여 독립학과로서 신문학과 설치
희관 임근수 교수 초대학과장으로 취임
1968~1974
대학원교육
1968. 01
특수 전문대학원으로서 신문대학원 신설, 석사과정 개설
남정 김규환 교수 대학원장 취임
대학원 사회학과 B코스로 신문학 전공 석박사과정 설치
1967. 12
신문연구소가 신문대학원 부속연구소로 됨
1963~1967
신문연구소 교육
1963. 03
신문연구소 설치, 1년간의 연구생과정 개설
1968년까지 5년간 매스커뮤니케이션 연구 및 기자재 교육 실시
1950~1962
1950년대 초 : 문리과대학에 신문학 강좌 개설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서울시 관악구 관악로1 (08826)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64동 301호
언론정보학과
행정실: 880-6467
조교실: 880-6466
FAX: 885-8418